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 상당수는 "읽기와 쓰기는 잘 되는데, 말은 잘 못하겠어요"라는 고민을 자주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한국어 학습에서 말하기는 가장 어렵고 두려운 영역이지만, 동시에 가장 중요하고 실용적인 능력이기도 합니다. ‘말하기’는 단순한 암기나 문법 지식만으로는 향상되지 않습니다. 말하기는 반응 속도, 자신감, 감각을 키워야 하며, 이는 반복된 노출과 실제 말하기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말하기 중심 한국어 학습을 원하는 외국인을 위해, 기초부터 고급까지 적용 가능한 단계별 말하기 훈련법과 루틴, 혼자서도 실천 가능한 훈련 도구,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을 정리한 실전 전략을 A부터 Z까지 안내합니다.
STEP 1: 말하기의 기초는 듣기, 듣기의 핵심은 모방
말하기를 잘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귀가 먼저 열려야 합니다. 우리가 유창한 언어를 배우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은 ‘듣고 따라 하는 것’입니다.
영유아가 말을 배울 때도 오랜 시간 듣기 → 흉내 내기 → 반복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듯이, 성인 학습자도 모방 기반의 말하기 훈련이 핵심입니다.
추천 훈련 방법
- 오디오 쉐도잉 (Shadowing): 유튜브나 팟캐스트의 짧은 문장을 들으며 바로 따라 말하기. 하루 3~5분씩 반복.
- 입으로 읽기 훈련: 읽기 자료를 소리 내어 읽고 → 녹음 → 다시 듣고 발음·억양 점검
- 반복 들으며 따라 말하기: 한 문장을 5번 듣고 억양, 속도, 감정까지 그대로 따라 하기
추천 콘텐츠
- 유튜브: TTMIK, Korean Unnie, Seemile Korean, Easy Korean
- 팟캐스트: Talk To Me In Korean, KoreanClass101
TIP: 발음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실제 소리 구조와 억양을 반복 학습하는 것입니다.
STEP 2: 실전 상황 중심 표현 익히기 – 말할 기회를 스스로 만든다
문법과 단어는 많이 외웠지만, 실제 상황에서 입이 안 떨어지는 이유는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황별 회화 표현을 익히고 이를 실제로 말해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상황별 회화 예시
-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하나 주세요 / 덜 달게 해 주세요
- 병원에서: 머리가 아파요 / 감기에 걸린 것 같아요
- 마트에서: 이거 얼마예요? / 카드 돼요?
- 친구와의 대화: 오늘 뭐 했어요? / 영화 어땠어요?
1일 회화 루틴
- 아침: 표현 2~3개 암기
- 점심: 관련 문장 3개 만들기
- 저녁: 녹음 후 피드백
혼잣말 예시 주제
- 일정: 오늘은 은행에 가야 돼요
- 기분: 조금 피곤하지만 괜찮아요
- 계획: 이번 주말에는 친구를 만날 거예요
TIP: 하루 3 문장씩 말해보는 루틴을 꾸준히 유지하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말이 나오게 됩니다.
STEP 3: 말하기 실력을 폭발적으로 늘리는 피드백 활용법
혼자서도 말하기 실력을 늘릴 수는 있지만, 피드백 없이 반복만 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실수했는지,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운지를 아는 것이 실력 향상의 핵심입니다.
피드백 전략
- ChatGPT 활용: “내가 말한 문장이 자연스러운지 확인해 줘: ‘저는 영화를 보다가 집에 갔어요.’” → “저는 영화를 본 후에 집에 갔어요.”
- 언어교환 파트너: “내 문장이 어색해?” “더 자연스러운 표현 있어?”
- 자기 녹음 듣기: 스스로 말한 문장을 녹음 후 확인하고 수정
녹음 루틴
- 매일 아침 3 문장 말하기 녹음
- 일주일에 한 번 전체 듣기 + 수정
- 자주 틀리는 표현 노트 정리
TIP: 완벽한 문장을 말하려 하기보다, 말한 뒤 교정하면서 학습하는 과정 자체가 매우 효과적입니다.
STEP 4: 말하기 환경 만들기 – 습관은 실력을 만든다
말하기는 외우는 능력이 아니라 익숙해지는 능력입니다.
즉, 말하는 환경과 습관을 만드는 것이 실력 향상의 지름길입니다.
한국어 말하기 환경 만드는 팁
- 휴대폰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변경
- 혼잣말 습관화: "배고프다", "지금 뭐 하지?", "이제 나가자"
- SNS에 한국어로 짧은 글 남기기
- ChatGPT에게 말하기 파트너 역할 요청
말하기 습관 루틴
시간대 | 활동 | 예시 표현 |
---|---|---|
아침 | 오늘 할 일 말하기 | “오늘은 회의가 있어요.” |
점심 | 음식 설명하기 | “김치찌개를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어요.” |
저녁 | 하루 마무리 말하기 | “오늘은 피곤했지만 만족스러웠어요.” |
TIP: 일정한 루틴을 하루 3번만 실천해도 말하는 능력이 빠르게 향상됩니다.
결론: 말하기는 연습량이 결과를 만든다
말하기는 실수하지 않는 사람이 잘하는 것이 아니라, 많이 말해본 사람이 잘하게 되는 영역입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고 틀리는 것이 당연합니다. 중요한 건 그 틀림을 받아들이고, 수정하며, 반복하는 것입니다. 듣고 따라 말하기 → 상황별 회화 연습 → 피드백받기 → 환경 만들기. 이 네 가지를 매일 실천한다면, 지금 당장은 유창하지 않더라도 3개월 후에는 확실히 말하는 자신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오늘부터 한 문장이라도 말해보세요. 그 한 문장이 여러분의 언어 인생을 바꿀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