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레벨별 준비법 비교 (1급vs6급, 초보vs고급)

by aos1000 2025. 5. 10.

교육
교육

목차

하나. TOPIK 1급 vs 6급: 시험에서 요구하는 능력 차이

둘. 1급 준비법: 한글부터 실용 표현까지

셋. 6급 준비법: 논리와 표현의 완성

넷. 결론: 수준에 맞는 전략이 성패를 좌우한다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은 1급부터 6급까지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급수가 올라갈수록 요구되는 언어 능력과 준비 전략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특히 1급과 6급은 서로 대조되는 수준으로, 수험자의 출발선도 다르고 접근 방법도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TOPIK 1급을 준비하는 한국어 초보자와 6급을 목표로 하는 고급 학습자의 학습 전략, 학습 자료, 실전 팁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급수별 맞춤 학습법을 안내합니다.

TOPIK 1급 vs 6급: 시험에서 요구하는 능력 차이

1급(초급): 기본적인 일상생활 회화 능력, 자기소개, 쇼핑, 위치 묻기, 시간 말하기 등 매우 기초적인 한국어 사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6급(고급): 추상적인 주제에 대해 논리적으로 글을 쓰고 말할 수 있어야 하며, 학문적 글쓰기나 공식 문서를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는 수준을 요구합니다.

비교 항목 TOPIK 1급 (초보자) TOPIK 6급 (고급자)
문법/어휘 수준 기본 문형, 생활 단어 (예: 가다, 먹다, 장소명) 고급 어휘, 관용어, 한자어, 격식 있는 표현
듣기 난이도 짧은 문장, 명확한 발음, 그림 고르기 시사, 정책, 학술 발표 등 긴 문장 중심
읽기 유형 간단한 안내문, 간판, 대화문 칼럼, 신문 기사, 사설, 추론 중심 독해
쓰기 평가 없음 (TOPIK I은 쓰기 없음) 에세이(53번): 논리 구조 + 주제 해석 + 예시 적용 능력
학습 목표 기초 회화 가능 + 한글 읽고 쓰기 한국어를 활용한 전문 활동 가능 (논문, 직무 등)

1급 준비법: 한글부터 실용 표현까지

학습 기간: 1~3개월 (하루 1시간 기준)

주요 목표: 한글 익히기, 기초 단어 800개, 문형 20~30개 숙지

학습 방법:

  • 한글 학습: 자음/모음, 받침 익히기 → '가나다' 쓰고 읽기 훈련
  • 기초 어휘: 장소(학교, 집), 인사(안녕하세요), 숫자(일~십), 요일 등
  • 문법 연습: '-입니다', '-아요/어요', '-고', '-지만' 등 기초 문형 암기
  • 듣기 훈련: 유튜브 초급 영상 청취(Seemile, TTMIK)
  • 읽기 연습: 한글 동화, 쉬운 안내문 읽기 + 해석

추천 자료:

  • 『세종한국어 1~2』
  • 『TOPIK I 초급 기본서』
  • Quizlet 단어장, 네이버 사전 활용

TIP: 실수해도 두려워하지 말고, 듣고 따라 말하기 + 받아쓰기 중심으로 반복하세요. 기초 표현을 일상에 적용하며 말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6급 준비법: 논리와 표현의 완성

학습 기간: 최소 6개월 이상 (하루 2시간 이상 권장)

주요 목표: 에세이 작성 능력, 고급 어휘/문법 적용, 긴 지문 독해, 고난도 듣기

학습 방법:

  • 고급 어휘 암기: 정책, 환경, 사회 현상 관련 단어 / 속담·격언 암기
  • 듣기 연습: 라디오 뉴스, 시사 토론 청취 후 요약 + 정리
  • 읽기 훈련: 칼럼, 논설문 → 핵심 문장 찾기, 글쓴이 의도 파악
  • 쓰기 전략: 53번 에세이 구성 훈련 (서론-본론-결론 구조화)
  • 첨삭 훈련: 작성 후 자기 첨삭 + 원어민 피드백 요청

추천 자료:

  • 『TOPIK II 고급 실전 모의고사』
  • 『TOPIK 쓰기 완성』
  • 『고급 한국어 어휘와 문법』
  • 공식 TOPIK 기출문제 3개년 분석

TIP: 단순한 암기보다 ‘표현력과 논리력’을 키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제별 에세이를 최소 20편 이상 작성하고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세요. 사회적 이슈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쓰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결론: 수준에 맞는 전략이 성패를 좌우한다

TOPIK 1급과 6급은 시작점과 도달점이 완전히 다릅니다. 초급자는 ‘한국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목표이고, 고급자는 ‘한국어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따라서 수험자는 자신의 현재 수준과 목표 급수에 맞추어 자료 선택, 학습 루틴, 복습 방식을 조정해야 합니다.

1급은 기초 회화+문형 반복, 6급은 논리적 사고+표현 다양성을 중심으로 계획을 세우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매일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실천하는 것입니다.

지금 바로 자신의 급수에 맞는 계획표를 만들고, 실행에 옮겨보세요. TOPIK 합격은 준비된 자에게 찾아옵니다!